[수능 세계사, 세계사B]이슬람교의 성립과 특징, 이슬람 각국의 흥망사
- 학업
- 2019. 11. 3.
■ 이슬람교의 성립.
6세기경, 그리스와 대립하던 아케메네스왕조 페르시아에 이어 사산왕조 페르시아와 비잔티움 제국과의 대립.
중개무역의 거점위치를 차지하던 사산왕조 페르시아가 비잔티움제국과의 단절, 교역차단
상인들이 바닷길 이용. 그 과정에서 아라비아 반도의 메카, 메디나 등의 도시가 번성
메카, 메디나 등 번성한 도시에서 빈부격차 발생, 이 시기즈음하여 무함마드가 이슬람교 창시.
그러나 메카에서 이슬람교 박해, 622년 무함마드가 박해받는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동(헤지라), 헤지라는 이슬람력의 원년(이슬람력은 태음력).
세력과 힘을 키운 무함마드가 메카 점령, 카바 신전 성전화, 그 후 아라비아 반도 통일.
■ 이슬람교의 특징
이슬람 의미 : 알라로의 절대 복종, 유일신 사상, 우상숭배 금지, 성전 코란(신앙생활, 일상생활의 규범)
■ 정통칼리프 시대
무함마드 사후, 칼리프(후계자) 투표, 칼리프가 이슬람 공동체 지도, 이슬람교의 정복활동(지하드)전개.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시리아, 이집트 정복. 네하벤드 전투에서 사산왕조 페르시가 격파.
제4대 칼리프 알리(시아파) 암살. 우마이야 왕조 진입, 칼리프 세습제로 변경.
■ 주의점
메카, 메디나는 페르시아 연안이 아닌 홍해 연안.
코란은 무함마드 작성 남김이 아닌 제3대칼리프에 의해서 현재 내용 확정.
시아파는 알리와 그 자손을 정통 지도자로 인정(소수파), 수니파는 우마이야 왕조이후의 칼리프를 정통으로 인정(다수파)
■ 우마이야 왕조
알리가 암살 당한후, 무아위야가 건국, 수도 바그다드, 우마이야 왕조 성립.
우마이야 왕조도 지하드 전개. 북아프리카점령, 이베리아반도 서고트왕국 멸망, 투르 푸아티에전투에서 카를로스 마르텔에게 격침.
지배체제 : 아랍인 제일주의 표방, 아랍인 면세 특권반해 비아랍인에게 지즈야, 하라즈 부과, 납부시 개종강요X. 비아랍인 불만 증가.
■ 아바스 왕조
비아랍인+시아파가 연합, 우마이야 왕조 멸망, 아바스 왕조 건국. 성립후 시아파 탄압.
민족 관계 없이 지즈야 면제(단 이슬람 예외), 토지 소유자로부터 하라즈 징수, 이슬람 교도간의 평등 실현, 하룬 알라시드 시기 전성기.
탈라스 전투에서 당에게 승리, 제지법 등 전파.
■ 주의점
비 이슬람인에게서는 지즈야, 하라즈 징수.
아바스 왕조는 용병 고용(맘루크 : 투르크 병사)
■ 셀주크 튀르크
브와이흐 왕조 : 바그다드 점령, 아바스 왕조로 부터 대 아밀에 임명, 정치적 실권 장악.
건국자 투그릴이 바그다드 침입한 브와이흐 왕조 격파, 아바스 왕조로부터 술탄 칭호 수여.
11세기후반 전성기, 재상 니잠 알물르크가 각지에 니자미야학원설립, 학원 장려.
이그타 제도(브와이흐 왕조 시작, 셀주크 정비) : 군인에게 급여대신 징세권부여.
소아시아 진출, 비잔티움제국 위협, 예루살렘 점렴, 후에 십자군 전쟁 촉진.
13세기 일한국 후라크가 아바스 왕조 멸망, 카잔 칸이 이슬람교 개종, 국교화.
■ 이집트
파티마 왕조
칼리프 자칭. 10세기 카이로 천도, 아즈하르 대학 창건
맘루크 왕조 몽골군 격퇴, 메카 메디나 보호화
■ 서방이슬람세계
후마이야 왕조 - 코르도바 수도
무라비드 왕조 - 베르베르인(북아프리카 선주민) 건국, 가나왕국 공격, 이베리아 반도 남부 진출.
무왓히드 왕조 - 베르베르인 건국, 무라비드 왕조 멸망
나스르 왕조 - 그라나다 수도, 그라나다에 알함브라 궁전 조성.
■ 중앙아시아
사만왕조 - 이란계, 부하라 등의 도시에서 동서무역으로 번성
카라-한 왕조
호라즘 왕조 - 튀르크계, 쿠빌라이 칸에 의해 멸망
■ 인도
이슬람 왕조 가스나 왕조와 고루 왕조가 인도에 침입, 이슬람화 촉진
델리 술탄왕조 - 가스나 왕조, 고루 왕조 침입. 이슬람화
델리를 수도로 한 최초의 이슬람 왕조 - 노예왕조